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능론과 갈등론

지적호기심

by 생각생강 2023. 5. 21. 23:57

본문

기능론과 갈등론은 사회 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사회학적 관점입니다. 각각의 의미와 차이점을 알아볼까요.

 

1. 기능론

기능론은 사회를 안정성과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며 상호 연결된 부분으로 구성된 복잡한 시스템으로 봅니다. 따라서 이 관점에서는 여러 사회 기관들의 상호 의존성과 이 기관들이 사회의 전반적인 기능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분석해요. 기능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호 연결

기능론에서는 교육, 가족, 경제, 종교와 같은 사회의 여러 부분들이 상호 연결되고 함께 작동하여 사회를 유지하고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기여한다고 생각합니다.

사회 질서

기능론에서는 사회가 규범, 가치, 사회 제도의 확립을 통해 안정성과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자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개인들이 상호작용하고 조화를 유지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는 것이지요.

명백한 기능과 잠재적 기능

기능주의자들은 명백한 기능(사회 제도나 행동의 의도되고 인식된 결과)과 잠재적인 기능(의도되지 않은 또는 인식되지 않은 결과)을 구별합니다. 예를 들어, 교육의 명백한 기능은 지식과 기술을 전달하는 것이고, 잠재적인 기능은 학생들을 문화적 가치로 사회화하는 것이죠.

균형 및 통합

기능주의는 사회가 자연스럽게 균형잡힌 상태를 추구한다고 봅니다. 각 사회 기관과 사회적 관습은 안정성을 유지하고 사회적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해요.

 

2. 갈등론

갈등론은 사회에서 권력, 사회적 불평등, 그리고 갈등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사회는 경쟁적인 이해관계를 가진 다른 집단들 사이의 투쟁과 갈등으로 변화 발전해왔다는 것인데요. 갈등론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권력과 불평등

갈등론은 사회의 자원, 기회, 권력의 불평등한 분배를 강조합니다. 이러한 불평등은 지배적인 그룹이 자신들의 지위를 견고히 하기 위해 노력하는 반면 종속적인 그룹은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사회적 갈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해요.

사회 변화

갈등론은 사회 변화를 집단 간의 갈등과 긴장의 결과로 봅니다. 소외되거나 불이익을 받는 집단이 기존 권력구조에 도전할 때 사회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지요.

불평등과 경쟁

갈등론자들은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에서 발생하는 경쟁과 착취에 초점을 맞춥니다. 그들은 지배적인 그룹이 자원을 통제하고 노동력을 착취하고 특권을 유지하기 위해 어떻게 그들의 힘을 사용하는지 분석해요.

이념적 통제

갈등론자들은 또한 사회적 불평등을 유지하는 데 이념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지배적인 그룹은 종종 사회에서 그들의 특권을 정당화하는 데 이념을 활용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죠.

 

기능론과 갈등론의 비교

1. 사회에 대한 관점

기능론은 사회를 안정성과 사회질서를 위해 노력하는 체제로 보고, 서로 다른 부분의 상호의존성을 강조합니다. 갈등 이론은 사회를 집단 간의 경쟁과 갈등에 초점을 두고 권력 투쟁과 사회 불평등의 현장으로 봅니다.

2. 변화를 보는 관점

기능론은 사회적 균형의 유지와 점진적 변화를 강조하는 반면, 갈등론은 갈등과 긴장의 결과로 인한 사회적 변화를 강조합니다.

3. 사회 질서에 대한 관점

기능론은 사회 제도가 질서에 기여하는 것으로 간주하면서 사회 질서와 사회 안정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반면, 갈등론은 사회적 불평등과 파괴적 갈등이 변화의 촉매가 된다고 주장해요.

4. 불평등에 대한 관점

기능론은 사회적 불평등을 중심 관심사로 명시적으로 다루지 않는 반면, 갈등론은 불평등과 권력 불균형을 전면에 내세웁니다.

 

두 이론 모두 사회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지만, 사회 시스템의 기능과 역학에 대해서는 대조적 시각을 보이는데요. 기능론은 안정성, 상호의존성, 균형성에 중점을 두는 반면, 갈등론은 갈등으로 인한 권력 투쟁, 사회적 불평등, 사회 변화를 강조하는 관점이랍니다. 사회를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우리는 이 두 시각을 잘 활용하고 통합해야겠지요?

'지적호기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문학에 대해 알아봅시다.  (0) 2023.05.24
매체의 종류와 특성  (0) 2023.05.23
사회화란 무엇일까요.  (0) 2023.05.20
다다이즘(Dada)이란 무엇일까요.  (0) 2023.05.20
선입견은 왜 생기는 걸까요.  (0) 2023.05.18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