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공시와 통시 (공시적, 통시적)

생각생강 2023. 5. 16. 00:37

이 연구는 공시적이다. 저 연구는 통시적이다. 하는 글을 읽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공시(Synchronic)와 통시(Diachronic)는 언어학, 인류학, 역사학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현상을 연구하는 두 가지 다른 접근 방식을 말하는 용어입니다. 각각에 대해 알아볼까요.

공시(Synchronic) : 공시적 접근 : 공시적 관점

 

공시는 어떤 현상의 현재 상태에 초점을 맞추어 특정 시점의 현상을 연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특정 기간 내에 존재하는 관계, 구조 및 패턴을 과거의 발전이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조사합니다.

언어학에서 공시적 접근

언어학에서는 특정 시간에 존재하는 언어의 구조와 문법을 연구합니다. 이러한 접근법에서 언어학자들은 언어가 역사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진화하거나 변화했는지를 고려하지 않고 특정 시점에서의 어휘, 구문 및 음운론을 분석합니다.

인류학에서 공시적 접근

문화인류학에서는 특정한 문화나 사회를 주어진 순간에 연구합니다. 인류학자들은 역사적 변화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현재 존재하는 공동체의 사회 구조, 믿음, 관습 및 관행을 조사합니다.

 

통시(Diachronic) : 통시적 접근 : 통시적 관점

통시는 다양한 시기에 걸친 현상의 역사적 발전, 진화, 그리고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일정 기간에 걸친 현상에 대한 연구를 하는 접근법입니다. 이러한 연구 방식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현상이 어떻게 진화, 변형 또는 소멸했는지를 조사합니다.

언어학에서의 통시적 접근

언어학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언어의 역사적 변화를 추적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언어학자들은 언어가 어떻게 발달했으며 원래의 형태에서 변화하였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어휘, 문법, 발음의 변화를 분석합니다.

역사학의 통시적 접근

역사학에서는 다양한 기간에 걸친 사건, 추세 및 발전을 연구합니다. 역사학자들은 사회, 문화, 정치 시스템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조사하고, 그 변화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합니다.

 

공시적 연구와 통시적 연구는 서로 상반되는 개념이지만, 이러한 연구 방식은 상호 보완적이기 떄문에 어떤 현상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요. 공시적 관점에서는 현재 상태를 마치 스냅샷으로 제공하는 반면, 통시적 관점은 역사적 맥락과 진화 궤적을 보여주니까요. 따라서 두 가지 접근 방식 모두 다양한 연구 분야의 복잡성과 역학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