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청년 희망 적금 가입 조건부터 만기 금액까지

생각생강 2023. 7. 20. 21:26

청년 희망 적금은 말 그대로 청년들의 꿈과 희망을 위한 선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래를 위한 저축의 기회와 함께 높은 금리와 다양한 혜택이 준비되어 있는데요. 희망을 어떻게 저축하면 되는지 알아볼까요. 

청년희망

청년 희망적금 자격 및 가입조건 

1. 지원 대상은 만 19~34세의 청년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병역복무기간은 최대 6년까지 추가인정이 돼요. 일반적인 복무기간을 18개월, 그러니까 1년 6개월로 잡는다면, 만 36세도 가능할 수 있다는 말이죠. 조건 그대로라면 사실 40까지도 가능합니다. (복무기간이 6년인 경우라면요.) 그러니 복무기간이 있었다면 꼭 계산해 보세요.

2. 총급여가 3,6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종합소득으로 따지면 2,600만원 이하여야 해요.

3. 신청하기 직전 3년동안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니었어야 합니다. 

청년 희망적금 만기금액

월 최대 납입이 50만원이므로 2년 만기까지 매달 50만원을 꼬박 저축한다면, 총 600만원이 되는데요. 여기에 이자가 최대 9.3%까지 붙습니다. 물론 이 이자는 은행마다 다르기 때문에 은행별로 따져봐야 해요. 기본 5%이고 조금 더 추가되기도 합니다. 

청년 희망적금 저축장려금

납입금액에 대해 1년차는 2%, 2년차는 4%의 지원금을 준다고 해요.

매달 50만원을 납부한다면 첫 해는 매달 1만원의 지원금이, 두번째 해에는 매달 2만원의 지원금이 지급되는 거죠.  이 지원금을 이자라고 생각하면 단순 계산해도 원래 이자+3% 이므로 꽤 괜찮은 조건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 예를 들어, 매달 50만원을 연금리 기본 5%로 가정하고, 2년 만기까지 납입한다면

납입금은 50만원*24개월 = 1200만원 + 이자 62만원 + 저축 장려금 36만원으로 총 1298만원이 됩니다. 총 98만원의 혜택을 받게 되죠. 물론 월단위 계산이라서 실제 불입 방식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청년 희망적금 비과세

여기서 좋은 점은 비과세 혜택 인데요. 이자 소득을 비과세로 한다는 것인데요. 13월의 월급이라는 연말정산에서 유리한 것이죠.

청년도약계좌와의 차이점 

청년희망적금은 2022년부터 시작된 제도입니다. 이에 비해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에 시작되었지요. 둘은 동시에 가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을 해지하고 갈아타야 하는지 고민이 많았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단 둘의 큰 차이점은 지원 대상의 소득수준과 납입기간입니다. 

청년희망적금과 달리 청년도약계좌는 총급여액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은 6,300만원 이하에 해당하는 자가 대상이거든요. 가구소득이라면 중위소득 180%이하에 해당하는 자여야 합니다. 이렇게 보면 총급여가 3,600만원을 넘는 청년은 청년도약계좌만 가입할 수 있는 것이죠. 

납입금은 월 최대 70만원까지 가능한데요. 만기가 5년입니다. 매월 더 많이 넣고, 더 길게 넣기 때문에 만기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당연히 더 많지만, 문제는 5년을 채우는 것이지요. 2년은 비교적 짧은 기간이라, 만기까지 버티기 쉽지만 5년은 버티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두 가지 다 가능한 청년이라면 이 부분을 고민할 필요가 있겠는데요.

두개의 저축방식 모두 중도해지시에는 혜택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청년 희망적금 신청방법

신청은 각 은행에서 받고 있습니다. 취급 은행에서 신청하시면 되는데요. 앱에서 신청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은행을 비교해 보시고 신청하면 되겠습니다. 다음 위급 은행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전국 은행: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기업은행 지역 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