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증편향이란 무엇일까요.
확증편향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검색이 생활화된 요즘 시대에 알고리즘까지 더해지자, 사람들의 확증편향이 더 견고해졌다는 말이 있는데요. 확증편향이란 무엇일까요.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이란.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은 개인이 기존의 신념이나 가설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찾고 해석하고 기억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그것과 모순되는 정보는 무시하거나 외면하는 인지편향입니다. 즉, 사람들은 자신의 기존 신념을 뒷받침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검색하고 해석하고 기억하는 반면, 기존 신념에 반하는 정보는 무시한다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 어떤 스포츠 팀이 리그에서 최고라고 믿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그 팀이 최고의 기록이나 가장 많은 우승을 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통계와 같이 이러한 믿음을 뒷받침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찾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동시에 팀을 비판하는 뉴스 기사나 특정 영역에서 다른 팀이 더 잘 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통계는 무시하거나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해 버리는 것이죠.
확증 편향은 정치, 종교 또는 개인 관계와 같은 영역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특정 정치 후보를 강력하게 지지하는 사람은 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뉴스 기사에 수긍하지만 비판하는 기사를 보면 무시하거나 비난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판단이나 평가의 기준이 자신의 신념이라는 것인데요. 사실에 기반한 기사라 하더라도 확증 편향의 시각으로 본다면 근거없는 낭설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옳은 판단을 내리는 데에는 방해가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확증 편향이 문제인 이유.
확증편향은 개인이 기존의 신념이나 가설을 뒷받침하는 정보에는 과도한 비중을 두고 기존의 신념이나 가설과 모순되는 정보를 간과하거나 무시하게 만들기 때문에 판단의 오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공정한 판단에 필요한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증거나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 여지를 두지 낳는 사고 방식이기 때문에 현실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심어줄 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 특정 식단이 가장 건강에 좋다고 강하게 믿는 사람은 이러한 믿음을 뒷받침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찾아서 자신의 신념을 꾸준히 강화할 수 있는데요. 다이어트와 관련된 건강상의 이점을 보여주는 연구만 읽고 무리한 다이어트의 부작용을 암시하는 연구는 무시해 버린다면 건강에 나쁜 식단을 좋다고 믿고 계속 실행하는 잘못을 저지를 수도 있는 것입니다.
확증 편향을 극복하려면
일단 확증 편향이 굳어지면 극복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자신이 편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한데요. 그래서 스스로에게 확증 편향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그리고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해보려고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어떤 기사나 의견을 대할 때는 이것이 사실에 근거했는지. 객관적인 증거를 갖춘 것인지를 확인해보고, 때로 다른 관점을 가진 사람과 토론하면서 복합적으로 생각해 보세요. 무엇보다 열린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