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화는 개인이 자신의 사회나 사회 집단의 규범, 가치, 신념, 행동을 배우고 내면화하는 과정입니다. 한 개인이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사회적 기술, 문화적 지식, 그리고 대인 관계 행동을 습득하는 과정이라고도 볼 수 있는데요. 사회화의 과정은 일반적으로 어린 시절에 시작되어 한 사람의 일생 동안 계속됩니다.
1차 사회화는 유아기에 주로 가족 구성원, 특히 부모나 양육자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아이들은 가까운 환경으로부터 기본적인 사회적 기술, 언어, 규범, 그리고 가치를 배우지요. 가족과 상호작용하면서 사회의 기대를 배우고, 가까운 이들과 의사소통하고 상대를 이해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2차 사회화는 직계 가족을 넘어 더 광범위한 사회적 맥락으로 진입하면서 이루어집니다. 교육 기관, 동료 그룹, 종교 기관 및 기타 사회 조직등과 상호작용하면서 배우게 되는데요. 2차 사회화는 개인이 더 발전된 사회적 기술을 개발하고, 특정한 지식을 습득하고, 자신이 속한 사회 집단의 규범과 가치를 내면화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사회화는 사회적 역할과 사회적 기대, 사회 환경에 어울리는 행동을 배우는 것입니다. 학생으로서, 친구로서, 직원으로서, 시민으로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죠. 사회화 과정에서 개인은 각역할에 대한 사회적 기대, 책임 및 적절한 행동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사회화는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의 필수적인 부분이 될 정도로 사회의 규범, 가치, 신념을 내면화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내재화된 규범과 가치는 개인의 생각, 태도 및 행동을 규정하고 다른 사람과 상호 작용하는 방법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사회화는 일방적인 과정이 아니라 상호작용하는 과정으로 보아야 하는데요. 개인은 사회로부터 가치나 신념을 내면화하기도 하지만 그들 또한 여러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를 형성하는데 기여를 하기 때문입니다.
매체의 종류와 특성 (0) | 2023.05.23 |
---|---|
기능론과 갈등론 (0) | 2023.05.21 |
다다이즘(Dada)이란 무엇일까요. (0) | 2023.05.20 |
선입견은 왜 생기는 걸까요. (0) | 2023.05.18 |
게슈탈트란 무엇일까요. (0) | 2023.05.14 |
댓글 영역